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7

[7/31] GIT object - has unique idBlobfile content을 대표함. 파일이름 이런거 하나도 없고 순수 데이터Treefolder를 대표함. blobs와 other trees을 children으로 가짐.모드, 객체 유형, SHA1 이름, 이름이 있는 항목 목록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름순으로 정렬CommitWrapper around a tree.commit message와 tree에 대한 pointer.parent commit의 parent는 전 commit (LinkedList - commit History)Branchpointer to a commit, default name is branch "master" 2024. 7. 31.
[7/29] Javascript event 학습중... callback 함수어떤 시점에 시스템에서 호출하는 함수Task Queue, Web API, Event loop (병렬처리와 스레드)javascript 는 single thread이면서 async를 구현해야한다 -> 어떻게???? Javascript Engine 외부에 Web API와 Task Queue, Event Loop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setTimeout(callback())을 하면 setTimeout(callback())째로 Web API에 전달했다가, 지정된 시간이 지나면 Task Queue에 callback()함수를 넘겨준다 이때 Task Queue가 callback() 함수들을 저장해놨다가, Javascript Engine의 Call Stack이 비어있을때 순차적으로 추가한다. Even.. 2024. 7. 29.
[Boostcamp-challenge] 2주차 회고 240722 ~ 240726Keep ->구현도 좋지만 학습 그리고 또 학습학습과 설계, 구현 생각 플로우에 따른 문서화, 그리고 블로깅 하기Problem ->컨디션 관리는 여전히 안된다. 목요일/금요일에 거진 좀비가 된다.역시 학습이 부족하다. 제대로 이해했다고 보기 어렵다...자꾸 제출이 늦어서 못하는경우가 생긴다. 정신좀 차리자.Try ->핫식스 줄이기...내가 작성한 Gist를 읽으면서 복습하자.주말에 React, Node.js, 공룡책 강좌 편한마음으로 수강하기에러 고치면 블로그에 공유하기 진짜 피곤하지만 재밌기에 그만큼 열심히 하고 있는것 같다.다같이 열심히 하는 분위기라서 더 열심히 할 수 있는것같다.독학도 좋은데 다같이 학습하는게 확실히 동기부여가 된다! 아예 모르는 미지의 영역을 안다고 착.. 2024. 7. 26.
[7/25] 롤 서버로 알아보는 옵저버와 펍섭 디자인 패턴 롤을 구현해본다고 생각하자야스오가 이동해서 "move" event가 발생하면, 다른 챔피언들의 컴퓨터에 "move" event를 보내서야스오가 이동했다는것을 그 챔피언의 컴퓨터들이 알 수 있도록 해야한다. 그래야 컴퓨터에서 야스오의 위치를 제대로 동기화 할 수 있으니까.  그래서 이 "move" event에 관심있는 애들이 listener로써 등록을 해놨다가 실제 "move" event가 발생하면 관심이 있다고 해놨던 애들한테 "move" event를 보내게 된다. 이렇게 객체와 객체간 loose한 연결을 가지는 패턴을 Observer 디자인 패턴이라고 한다. 해당 방식은 단순히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관계로 이루어져 있기에 중간자 없이 나타낼수 있다. (더 빠를것으로 예상된다)  객체가 많고 관계가.. 2024. 7. 25.
[7/24] OOP에 절여진 네게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사실 OOP를 제대로 알고있는지도 모르겠다는게 사실이지만)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뭐야 대체..무지한 첫 생각 : 하던대로 함수 짜는게 함수형 프로그래밍 아님?학습한 결과 : 불변성과 가변성에 대해 생각한게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다.순수함수 그리고 불변성순수함수가 뭘까?함수형 프로그래밍함수형 프로그래밍 : 부수 효과를 없애고 순수 함수를 만들어 모듈화 수준을 높이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부수 효과 = 외부의 상태를 변경하는 것 또는 함수로 들어온 인자의 상태를 직접 변경하는 것순수 함수 = 부수효과가 없는 함수 즉, 어떤 함수에 동일한 인자를 주었을 때 항상 같은 값을 리턴하는 함수 + 외부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 함수출처: https://jeong-pro.tistory.com/23 [기본기를 쌓는 정아마추어 코.. 2024. 7. 24.
[7/23] JEST: Test 라이브러리는 이렇게 섹시하구나 라이브러리 정하기Jest 이전에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테스트하라면 여러가지 테스팅 라이브러리를 조합해서 사용하곤 했었다.예를 들어, Mocha나 Jasmin을 Test Runner로 사용하고, Chai나 Expect와 같은 Test Mathcher를 사용했으며, 또한 Sinon과 Testdouble 같은 Test Mock 라이브러리도 필요했었다.이 라이브러리들은 굉장히 유사하지만 살짝씩 다른 API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여러 프로젝트에 걸쳐서 일하는 자바스크립트 개발자들에게 혼란을 주기도 했었다.하지만 Jest는 라이브러리 하나만 설치하면, Test Runner와 Test Mathcher 그리고 Test Mock 프레임워크까지 제공해주기 때문에 현재 대세라고 말할 수 있다.출처: https://inp.. 2024. 7. 23.
[7/22] 자바스크립트에서 OOP란 뭘까... https://velog.io/@suuhyeony/JS-%EA%B0%9D%EC%B2%B4%EC%A7%80%ED%96%A5-%EC%9E%90%EB%B0%94%EC%8A%A4%ED%81%AC%EB%A6%BD%ED%8A%B8-%EC%83%81%EC%86%8D%EA%B3%BC-%ED%94%84%EB%A1%9C%ED%86%A0%ED%83%80%EC%9E%85 [JS] 객체지향 자바스크립트 -상속과 프로토타입JavaScript은 어떻게 상속을 하는걸까? 프로토타입은 도대체 뭐지?velog.io ES6 문법을 쓰면 Java에서 쓰던것처럼 extends로 상속하고 super()로 부모 메소드에 접근하기가 가능하다. 함수의 다형성도 지원하는것같다. 일단 익숙한 방식인 class를 extends 해서 쓰고 export i.. 2024. 7. 23.
[Boostcamp challenge] 1주차 회고 240715 ~ 240719Keep ->최대한 구현하려고 노력 그리고 또 노력요구사항 3회독하고 시작하기구현하기 전에 다이어그램 그리기Problem ->컨디션 관리가 잘 안된다,,, 밤을 매일 새고 있다아무래도 하루단위로 과제가 들어오기에 학습할 시간이 부족하다문서화 하기가 너무 어렵다Try ->구현하면서 해본 시행착오를 간단하게나마 메모하기부지런해지기 (제일 어려움)학습할 내용 적어놨다가 주말이나 남는 시간 짬짬히 공부 더 하기 -> 이거 완전 블로그 쓰면 되잖아? 2024. 7. 22.
[7/17] 익숙한 Parser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XML의 단점을 보안하고 웹 환경(Javascript)에서 사용하고자 만듬{ "이름공간(키)": "값", "값 구분자": "각각의 값들은 ',' (콤마)로 구분되어야 합니다.", "이스케이프": "키나 값에서 큰따옴표를 쓰고 싶으면-특정 문자를 이스케이프 하려면- \" 처럼 문자 앞에 역슬래시를 붙입니다.", "자료형": "표현 가능한 자료형은 문자열, 숫자, 불리언, 널, 객체, 배열 6개입니다.", "문자열 값":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숫자 값": 19721121, "불리언 값": true, "널 값": null, "객체 값": { "값1": .. 2024. 7. 18.